제목 | 2025년 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인공지능학과 | 등록일 | 2025-05-30 | 조회 | 326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첨부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2025년 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
○ 공모주제 - 현재 상용화되지 않은 디지털 혁신기술(AI, 5G 등)와 관련된 아이디어 ○ 기간 및 일정 - 공모기간 : (접수) 2025. 5. 15.(목) ~ 2025. 6. 16.(월) 24:00까지 * 접수서버시간 기준이며, 시간초과시 접수되지 않음
※ 상기 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
○ 지원자격 - 현재 상용화되지 않은 디지털 혁신기술(AI, 5G 등)와 관련된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예비창업자(팀) 및 중소ㆍ초기창업 기업 1) 아이디어 형태가 서비스(모바일앱, 웹서비스, 앱+웹 등) 또는 디바이스 모두 참여 가능 2) 예비창업자 : 모집마감일(2025.6.16) 기준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자, 일반부문으로 참여 ** 예선심사 이후 관련 증명서류를 제출하여 참가자격을 확인함(사업자등록사실여부 사실증명) ** 업종에 관계없이 현재 사업자등록을 보유중인 경우에는 일반부문 참가가 불가함 3) 중소ㆍ스타트업 기업 : 기업부문으로 참여 ** 예선심사 이후 관련 증명서류를 요구할 수 있음(사업자등록증)
ㅇ 참가제외대상 - 동일한 아이디어로 정부 및 지자체, 공공기관 등의 공모전에 선정되어 수상 및 지원을 받은 경우 - 타인의 지식재산권을 일부라도 침해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- 해당 아이디어를 상용화(서비스 런칭, 제품 출시 등) 하여 서비스 중인 경우 ※ 알파 및 베타테스트는 상용화로 구분하지 않음 ※ 기능 및 서비스를 불특정 다수에 유료로 제공 및 유통 중이거나, ‘정식 출시’ 등의 언론보도 이력이 있는 동일 또는 유사한 아이디어는 상용화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참가제외 대상으로 분류함. -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정보통신기획평가원,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 정부지원사업 참여제한 등 제재를 받고 있는 경우 ※ 계약위반, 정산환수금 또는 기술료 미납 등 - 기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참여제한의 사유가 있다고 인정하는 자(기업) ※ 현재 수행기관, 대표자, 총괄책임자 등이 참여제재를 받고있는 기업
○ 접수방법 - 공모전 홈페이지 : http://digitalopenlab.or.kr - 홈페이지 참여접수 페이지에서 접수 양식 내려받기 및 참가신청서 접수 가능 - 접수마감일 : 2025. 6. 16.(월) 24:00까지 ** 접수페이지 서버시간 기준이며, 접수마감시간 초과시 바로 접수가 종료되므로, 마감시간보다 여유있게 접수 요망
○ 제출서류 - 참가신청서 1부(공모전 참가 약관, 공모전 참가 동의서, 개인정보 이용 제공 활용 동의서 각 1부 포함) * 참가신청서 서식 중 ‘아이디어 상세내용’은 핵심내용 위주로 10페이지 이내로 작성 * 참가신청서 서식 이외 별도 제출한 자료는 서류심사에 반영하지 않음 * 파일명은 ‘대표자 성명’으로 제출
○ 심사기준 - (심사단계별 심사기준) 해당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을 통해 평가 진행 - (예선심사, 서류심사) 주제적합성(20점), 독창성(30점), 사업성(30점), 실현가능성(20점), 지원한 랩(접수처)별로 구분하여 심사·선발 - (본선심사, 발표평가) 사업성(40점), 시장경쟁력(30점), 성장성(30점) * 본선진출팀을 대상으로 아이디어 고도화 지원 이후 결선진출팀 선정 * 본선심사 과정에서 개발 시제품(HW,SW)을 개발ㆍ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사업성 및 투자가치를 인정받는 경우라면 결선진출 가능 - (결선심사) 결선진출팀을 대상으로 데모데이 형식의 공개 발표평가를 진행, VC, 엑셀러레이터 등 사업성 및 투자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심사위원단과의 발표 및 질의응답을 통해 사업화 역량을 갖추어 추후 창업 및 사업화 성공 가능성이 높은 팀을 최종 선발 - (시상) 결선 결과에 따라 상장 및 상금, 사후 지원 제공
○ 시상내역 -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 및 총 상금 3,500만원 지원
** 심사기준에 미달시 수상자를 선정하지 않을 수 있음
★ 수상자 혜택 ① 전국 디지털오픈랩 및 ICT디바이스랩 장비활용 ② 제품개발 전주기 지원(바우처) 사업 연계 지원 ③ 인증 검증 획득 컨설팅 및 기술 지원(ICT융합품질인증, SW품질인증 등) ④ 기업부문 대상은 K-디지털 그랜드 챔피언십*에 연계 * 2025년 하반기 예정
○ 유의사항 - 모든 참가자는 2025년 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 전 과정에 신의성실 참여 의무가 있음 - 공모전 접수처의 선택은 신청자(팀,기업)에서 현재 자주 이용중이거나, 또는 추후 자주 이용하실 랩으로 선택하셔야 원활한 진행이 가능하며, 선택하신 랩별로 예선심사·선발이 진행됨 - 본 공모전의 참가, 공모전 진행과정의 참여에 있어 관련 법령 및 규정의 미숙지로 인한 불이익은 신청자의 책임임 - 선정 팀에 제재사유 발생 시 상장 및 상금 환수 등의 제재를 할 수 있음 - 본 공모전의 수혜자나 기업은 사업 수혜 이후 성과관리를 위한 성과조사 기초자료* 제출 협조의 의무가 있음 * 매출액, 종업원 수, 투자유치금액 등 - 공모전 수상 팀/기업의 수상 사실은 디지털오픈랩 및 공모전 홈페이지, 공모전 보도자료 등을 통해 대외 공표될 예정(디지털오픈랩 및 공모전 성과 홍보 목적) - 업종과 관계없이 사업자등록을 보유한 경우, 일반부문 참가 불가하며, 선정이후라도 참가자격에 맞지 않음이 확인되는 경우 선정이 취소됨 - 예비창업자(팀) 등 일반부문 참가자의 경우, 선정 이후 대표자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
※ <공모전 아이디어 보호에 관한 안내> 사항은 공고문 참조
○ 문의 - ☏ 스마트기술진흥협회(2025년 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 운영사무국) 전 화 : 02-6248-3502~3503 이메일 : kidia@kidia.or.kr |